라이프가이드

바른신경외과 건강칼럼
성장기에 발생하기 쉬운 척추 측만증, 조기진단의 중요성 대두
'척추측만증'

최근 들어 소아 청소년들에 대한 척추 건강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치원과 학교에서 긴 시간 동안 앉아서 생활하면서 핸드폰 등 디지털기기에 노출되어 잘못된 자세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아 청소년들의 척추 건강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운동 부족이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 척추 건강에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가 바로 척추측만증입니다.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측면으로 만곡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질환은 주로 성장기 아동과 청소년에게 발생하며,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성장의 불균형, 근육 및 인대의 이상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척추측만증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자로 곧게 뻗어 있어야 할 척추가 C자 혹은 S자형으로 휘어지는 질환으로 11~13세 사이에 빈번히 발생하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에서 2배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2021년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척추측만증으로 치료받은 환자 9만 4,845명 중 10대 청소년의 비율이 41.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척추측만증은 보호자의 주의 깊은 관찰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아이의 척추 불균형을 가정에서 간단하게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바르게 서서 상체를 90정도 아래로 숙이고 뒤에서 등을 관찰했을 때 오른쪽과 왼쪽 등의 가장 높은 부분이 일직선으로 이어지지 않고 한쪽이 더 높다면 척추측만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척추측만증은 초기에 뚜렷한 통증이 없고 특별한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어렵고 방치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만약 한 쪽 신발의 밑창이 유독 빠르게 닳거나 똑바로 서있을 때 고개가 삐딱하게 기울어져있다면 신경외과에 내원해 척추측만증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척추측만증은 심한 만곡으로 인해 일상적인 생활이 어려우며 다른 질환이 동반됐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휘어진 각도가 경미한 20도 전후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평소 생활 습관과 자세를 교정하여 더 이상 척추 변형이 진행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과 함께 운동치료 그리고 도수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도수치료는 의사의 진단을 기본으로 하여 치료사가 환자의 상태에 맞게 치료 방법을 설계하고 손이나 소도구만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1대 1 치료 방법으로 틀어진 척추 및 관절에 압력을 가해 움직임을 유도하고 주변 근육의 신장운동, 이완 및 근 길이의 확보를 통해 불균형 해소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수치료는 마취, 약물 그리고 절개를 진행하지 않는 비수술적 치료 방법이기 때문에 후유증이나 부작용에 대한 위험 부담이 적어 성장기 청소년들도 부담 없이 반복적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치료 시간이 짧고 별도의 회복 기간이 필요하지 않아 빠른 일상 복귀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치료는 만곡의 정도, 성장의 추이를 고려해 20도 전후로 휜 경우에는 운동치료, 도수치료 등과 함께 3~6개월마다 추적관찰을 통해 변화를 살펴보고, 성장기가 아직 끝나지 않고 25도 이상 휜 경우에는 보조기 착용으로 더 이상 각도가 휘어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바른신경외과에서는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을 활용하여 환자의 신체적 부담 없이 자연스럽게 회복하실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어떠한 질환이든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증상이 더 악화되기 전에 내원해 주셔야 하는데요. 척추측만증은 초기에 대처한다면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도 충분히 회복하실 수 있는 만큼 내부의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해 알맞은 치료를 진행하신다면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EDITOR 편집팀
바른신경외과 이종혁 대표원장
전화 : 043-283-5353
주소 : 청주시 흥덕구 대농로 39 LK트리플렉스 A동 6층
홈페이지 : www.bareunns.co.kr
신경외과 전문의 / 대한신경외과학회 & 대한신경통증학회 정회원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종신회원 / 평창동계올림픽 FOP physician
본 칼럼니스트의 최근 글 더보기
해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